서론: 현행시스템 파악의 중요성
현행시스템 파악은 기업이나 조직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 중 하나입니다. 이를 통해 현재 시스템의 성능, 구조, 그리고 문제점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.
1단계: 시스템 구성 파악
첫 번째 단계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파악하는 것입니다. 이 과정에서는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네트워크 등 다양한 요소를 검토합니다.
1.1 하드웨어 구성
서버의 사양, 수량 및 이중화 여부를 명시해야 합니다. 이 정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1.2 소프트웨어 구성
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제품명, 용도, 라이선스 적용 방식, 수량 등을 명시합니다.
2단계: 시스템 기능 파악
시스템의 주요 기능과 하부 기능, 세부 기능을 계층형으로 표시하여 파악합니다.
2.1 주요 기능
시스템이 수행하는 주요 업무를 명시합니다. 예를 들어, 데이터베이스 관리, 사용자 인터페이스, 보안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.
2.2 하부 기능
주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하부 기능을 명시합니다. 예를 들어,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경우 CRUD 작업, 쿼리 최적화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.
3단계: 시스템 인터페이스 파악
시스템 인터페이스는 데이터의 종류, 형식, 프로토콜, 연계 유형, 주기 등을 명시해야 합니다.
4단계: 아키텍처 구성 파악
사용되는 기술 요소를 구성도로 작성하고, 기준은 가장 핵심인 기간 업무 처리 시스템이 됩니다.
5단계: 네트워크 구성 파악
서버의 위치와 연결 방식을 작성한 네트워크 구성도로 파악합니다.
결론
현행시스템을 파악하는 것은 복잡한 작업일 수 있지만, 이를 통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.
출처: 기록하는 곳, Velog, Kimasill Tistory
2-1. 현행 시스템 파악 | 기록하는 곳
2-1. 현행 시스템 파악 (1) 현행 시스템 파악 개념 현행 시스템이 어떤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고, 어떤 기술요소를 사용하는지를 파악하는 활동 (2) 현행 시스템 파악 절차 [구성/기능/인터페
giwonn.github.io
05. 현행 시스템 파악
현행시스템 파악이란 현행 시스템이 어떤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고, 제공 기능 및 연계정보는 무엇이며 어떤 기술 요소를 사용하는지를 파악하는 활동이다.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및
velog.io
[정보처리기사 필기] 현행 시스템 파악
현행 시스템 파악 절차 새로 개발 하려는 시스템의 개발 범위를 명확히 하기위해 현행 시스템의 구성 등을 파악한다. 1단계 시스템 구성 파악 시스템 기능 파악 시스템 인터페이스 파악 2단계 아
kimasill.tistory.com
'IT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ML 기초: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중요성과 활용 방법 (0) | 2023.10.13 |
---|---|
요구사항 정의와 개발 프로세스 (0) | 2023.10.13 |
애자일 프로그래밍: 빠르고 효율적인 개발 (0) | 2023.10.13 |